칼럼을 충분히 읽어보신 후 상담 문의 주시면
더 높은 퀄리티의 상담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보컬패밀리 강사 이미르입니다.
오늘은 좋은 목소리에 필요한
요소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이런 고민이 있다면,
이번 글을 끝까지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정작 아나운서도 발음에 대해서는
얘기를 하지 않습니다.
발음이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죠.
발성이 더 중요한 요소입니다.
발성이 좋은 사람들은
발음이 정확한 것처럼 들리지만,
사실은 소리를 편하게 내기
때문에 전달력이 좋아지는 겁니다.
위처럼 고양이가 웅냐웅냐 하는데,
마치 한국말처럼 들리는 경우가 있죠.
아니죠.
한국어처럼 들리는 것이죠.
고양이의 소리는 날카롭고
찌르는 소리가 납니다.
명확하게 전달 되는 것이죠.
좋은 목소리는 발음이 아니라,
전달력 있는 소리입니다.
발음을 신경 쓰다 보면 입과 목
주변 근육에 힘이 들어가고,
말하는 속도가 느려집니다.
듣는 사람 입장에선 정확하게 들리지만,
말하는 사람은 오히려 불편해집니다.
긴장한 채로 말하면,
듣는 사람도 덩달아 긴장합니다.
그러니 자연스럽고 편하게 소리를 내야 합니다.
마인크래프트 게임에
주민이 흐음~ 하는 소리.
이 소리는 힘을 뺀 상태에서 나오는
자연스러운 소리입니다.
발음이 아니라 편안한 소리가
전달력의 핵심이라는 걸 보여주죠.
좋은 목소리를 원한다면,
발음보다 편한 소리가 먼저입니다.
좋은 목소리? "발음"이 문제가 아닙니다.
- 마침 -
"아.. 나는 왜 고음이 안되지...?"
"나는 고음만 되면 완벽한데.."
이런 고민을 하고 계시는 남성분들은
오늘 칼럼을 꼭 읽으시길 바랍니다.
최근 3개월 등록 현황 입니다.
10,000명이 넘는 수강생분들 중
남성 수강생분들의 고민은
고음에 대한 니즈였습니다.
안녕하세요.
보컬 패밀리 강사 이미르입니다.
오늘은 이 문제의 해결책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남성분들이 원하는 고음이죠.
10명 중 8명의 남자는
고음에서 힘을 강하게 주고 냅니다.
하지만,
오히려 반대죠.
멈, 꾹, 뻡, 누라는 발음으로
1.5 Tone Scale
1 Octave Repeat Scale
립트릴 or 텅트릴
을 하시면 됩니다.
네 맞습니다.
중요한 것은 힘이 세지 않아도
고음이 되는 것을 느껴야 합니다.
성대는 컨트롤할 수 없으니까요.
결론 : 붙이는 게 아니라 붙어지는 것이다.
⚠️ 주의할 점
모음이 정확해야 합니다.
압력 밥솥을 떠올리시면 됩니다.
안에 공기가 가득 차고
배출구가 좁으니
뿌~~하는 높은 소리가 납니다.
하압
위 영상의 3분에서
잠가준다는 말이 중요합니다.
가슴에서 답답함이
느껴져야 합니다.
너무 강하게 붙이면
성대에 무리가 가니 난무는 안됩니다.
상압
저희 아카데미 유튜브에도
올라와 있는 영상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엉 → 어를 해보시면
목구멍 쪽에서
막혔다가 뚫리는 느낌이 듭니다.
상압을 쓰시는 분은
대표적으로 김민석님이 계십니다.
많은 트레이너분들께서도
가성의 중요성을 많이 말씀하셨습니다.
저 가성의 정체는
요런 느낌의 가성인 것이죠.
고음에 필요한 가성은
위와 같이 선명한 가성입니다.
연습 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가성을 낸 후에
니, 네 같은 발음을
만들어주면 가성이 선명해집니다.
위에 상압과 같은 원리입니다.
저렇게 선명하게 내는 소리를
익숙하게 만드시고, 그다음에
천천히 노래에 적용하시면 됩니다.
제가 말씀드린 것들이
모든 사람에게 다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결막염 환자가
감기약 먹는다고 낫지 않듯이
필요한 게 사람마다 다릅니다.
보컬 패밀리는 레벨테스트 진행시
녹음을 진행하여 맞춤 선생님을
배정합니다.
마치 병원과 같은 것이죠.
고음 발성? "이거" 모르면 평생 못합니다.
보컬패밀리 입시반 멘토 이미르 강사입니다.
오늘은 제2의 가수가 왜 성공하기
어려운지 실제 사례로 알아보겠습니다.
주니엘
가수 주니엘님은 데뷔 초에
제2의 아이유로 마케팅을 했었던 분입니다.
2012년 6월 데뷔로 당시 관련 기사입니다.
마케팅은 성공적이었고,
illa illa (일라 일라)가 히트를 쳤습니다.
같은 앨범에 나쁜 사람이라는 곡도
많은 사랑을 받았죠.
보컬만 들어도 아이유와 유사하지만
조금 더 묵직하고, 슬픈 느낌의 보컬이죠.
사실 큰 문제는 없습니다.
노래도 히트를 쳤고, 음악 활동도 계속하니까요.
그런데 문제는
시간이 지났음에도 꼬리표처럼 따라다닙니다.
데뷔 초기에는 이런 마케팅이 도움이 되는 건 사실입니다.
하지만 결국 사람들은
원조를 찾게 되고,
장기적 관점으로는 좋지 않습니다.
"너 볼빨간사춘기랑 똑같다!"
"집 가면서 썸 탈꺼야 들어야지!"
비비
과연 이런 유명 가수의 이름을
마케팅에 이용하는 것이 마냥 안 좋을까요?
비비는 밤양갱이라는 곡으로
인기를 얻어 어둠의 아이유라는
별명을 얻었습니다.
Hip Hop, R&B에서 강세를 보였고,
예능 프로나 연기 쪽에서도 강세를 보였습니다.
행보도 아이유와 비슷합니다.
위와 같이 예능과 연기 쪽에서
강세를 많이 보입니다.
하지만 캐릭터가 다르기 때문에
서로 다른 매력을 느낄 수 있는 것이죠.
아이유는 순수함, 귀여움이 컨셉이라면
비비는 섹시, 솔직함이 컨셉인 것이죠.
주니엘님은 틱톡에서 활동하고 계시지만
음악은 슬프거나, 밴드처럼 무거운 느낌의 곡들을
하셨다면 제2의 아이유라는 꼬리표는
더 이상 따라다니지 않았을 거라고
조심스럽게 예상해 봅니다.
아티스트가 오래 살아남기 위해서는
반전 매력이라고 생각합니다.
비비처럼 아이유와
비슷한 행보를 걷지만
컨셉이 다른 것처럼 말이죠.
결국 자신에게 어울리는 게
무엇인지를 공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2인자로 시작해 자신의 색깔을 보여줄지
자신의 색깔을 가지고 영역을 전개할 것인지
말이죠.
제2의 아이유? '실패'합니다.
보컬 패밀리 입시반 멘토 이미르 강사입니다.
오늘은 음악에서 살아남는 방법입니다.
1. 음악은 1등이 살아남는다?
공부와 음악은 다릅니다.
사이트 먼저 확인 하겠습니다.
CWUR 한국 대학 랭킹
1위 서울대학교
30위 인제대학교
57위 한국외국어대학교
2023년도 취업률 보겠습니다.
대학의 순위가 낮을수록 취업률이 떨어집니다.
음악도 똑같을까요?
전소연 (여자)아이들
프로듀스 101 당시 종합 순위 20위였습니다.
지금은 (여자)아이들의 리더 겸 리드 래퍼죠.
아뇨 잘합니다.
물론 호불호가 갈리는 타입이긴 합니다.
특유의 비음으로 날카롭게 들려서 그렇죠.
보컬은 문제가 없습니다.
전소연은 (여자)아이들의 총괄 프로듀서입니다.
아뇨.
밴드 음악도 만들더니 차트를 점령해버립니다.
이대로 쭉 가면 엔터 대표도
가능하지 않을까 합니다.
250 (뉴진스 프로듀서)
아뇨. 원래 힙합 프로듀서입니다.
그런데 한서대 출신이네요.
한서대학교의 수시 경쟁률은 1.17 : 1입니다.
서울예대의 수시 경쟁률은 231:1이죠.
높은 경쟁률은 학교의 인기가 많다는 것입니다.
경쟁률이 순위라면 한서대는 그리 높지 않죠.
250은 인기가 없는 대학 출신이니까
음악으로는 살아남지 못할까요?
2023년 한국대중음악상에서 상을 6개 가져갑니다.
힙합을 하던 사람이 케이팝까지 점령합니다.
심지어 개인 앨범은 뽕짝이네요.
아이돌로 대중음악상을 타고
개인 앨범으로도 상을 쓸어버립니다.
2. 마지막으로 전할 이야기
음악이 순위, 학교가 중요한가요?
아뇨. 표현할 수 있는 재료가 많아야 합니다.
노래만 잘하면 살아남는다?
끝난지 오래입니다.
많은 것을 할 줄 알아야 하죠.
전소연처럼 랩도 하고,
춤도 추고, 가사도 쓰고,
작곡도 하고, 노래도 하는데
그 중에서도 작곡이 좀 더 특화 돼 있네?
250처럼 곡도 쓰고,
프로듀싱도 하고, 다양한 장르도 알면
곡을 쓸 때 장르만 결정해서 쓰면 되는 겁니다.
아무리 예뻐도 감흥은 줄어듭니다.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어야
오래 사랑을 받을 수 있죠.
음악도 꾸준히 공부하고,
내 것으로 만들고,
장르를 넘나들고,
타 아티스트와 협력해야 합니다.
현재 활동 중인 아티스트 중
성장하지 않는 아티스트는 없습니다.
전소연 인기 비결? '이것'입니다.
이런 말을 들어보신 어머님이라면 잘 오셨습니다.
최근 3개월 상담 스케줄입니다.
특히 새 학기를 앞둔 1~2월에는
전체 상담 중 70%가
진로 고민으로 찾아오시는 부모님들이십니다.
오늘은 부모님들을 위한 칼럼을 준비했습니다.
1. 쉽지 않은 음악의 길
부모님의 마음, 잘 알고 있습니다.
1. 음악으로 과연 먹고살 수 있을까...
2. 연예인의 길이 얼마나 힘든데...
3. 우리 아이가 상처받진 않을까...
누구보다 자녀를 사랑하시기에
위 영상처럼 악플에
아이들이 상처받지는 않을까라고
누구보다 자녀의 미래를 걱정하시는 마음
너무나 잘 이해합니다.
2. 정말 그럴까?
정말 그럴까요?
한 가지 사례를 보여드리겠습니다.
슈퍼스타K 4의 계범주를 아시나요?
영상 하나 보고 가시죠.
본선까지 진출했으나
그 뒤로 소식은 많은 분들이 모릅니다.
지금은 어떻게 살고 계실까요?
음악을 포기하고 다른 일을 하실까요?
프리즘 필터(뮤직 퍼블리싱 회사) 대표 프로듀서
BUMZU
제10회 KOMCA 대중 작사·작곡 부문 대상
퍼블리셔: 작곡가들이 모인 회사
프로듀서: 음악 제작 전체를 총괄하는 디렉터
Q: 음악 하는 사람은 돈을 못 번다?
A: 아뇨. 열심히 하지 않는 사람이 돈을 못 법니다.
모든 직업이 그렇듯
열정과 노력에 따라 성공이 결정됩니다.
음악도 예외는 아닙니다.
단순히 노래를 잘하는 것은 기본입니다.
진정한 성공을 위해서는
다양한 무기가 필요합니다.
구체적인 성공 전략은 다른 칼럼에서
말씀드리겠습니다.
3. 마지막으로 전하고 싶은 이야기
음악이 힘든 길이라서가 아닙니다.
모든 길은 험난하고 어렵습니다.
중요한 건 우리 아이가 어떻게
전략적으로 영리하게 진로를 설계하는가입니다.
저희는 부모님들께서
생각하시는 그 마음보다
더욱 현실적이고 냉정한 마음으로 피드백합니다.
다만 정말 음악을 하고 싶다는
아이들에게는 현실적으로
가능한 교육방식을 제공합니다.
아래는 저희 보컬패밀리와 함께했던 연예인들입니다.
음악을 한다는 우리 아이, 어떻게 하죠?
안녕하세요,
보컬 패밀리 입시반 멘토 겸 강사 이미르입니다.^^
혹시 이런 말을 들어본 적 있나요?
"넌 음악에 재능 없어"
"가수? 그런 거 아무나 하는 줄 알아?"
이런 부모님의 반대에는 이유가 있습니다.
오늘은 부모님을 이해하고,
현실적으로 설득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부모님 반대의 진짜 이유
1. 걱정이 만드는 반대
부모님의 차가운 말씀 뒤에는
사실 깊은 걱정이 있습니다.
📌
가수들은 무대에서 빛나기 위해
수많은 연습을 합니다.
하지만 위에서 봤듯이 현실은 차갑죠.
부모님은 여러분이 그 힘든 시간을
견뎌낼 수 있을지 걱정하십니다.
수많은 연습생 중 데뷔하는 사람은
극소수입니다.
부모님은 여러분이 실패했을 때
어떤 길을 가야 할지 고민하시는 거죠.
좋은 팬이 있는 만큼,
위처럼 비판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자녀가 이런 상처를 받을까 봐
걱정이 크실 수밖에 없습니다.
2. 오해가 만드는 반대
여러분의 꿈이 진짜라면,
이런 오해를 풀어드려야 합니다.
어떻게 설득하면 좋을까요?
1. 부모님 마음 먼저 이해하기
영상 하나 보고 가겠습니다.
9:18부터 보시면 될 거 같습니다.
우리를 키워주신 부모님도 사람이기 때문에
실수를 하실 수 있으십니다.
그러니 대화를 시작하기 전에,
부모님의 입장을 먼저 이해해 주세요.
이렇게 말하면 부모님도
나의 이야기를 들어주실 준비가 됩니다.
2. 구체적인 계획 보여드리기
단순히 “음악 할 거야!”라고 말하는 것보다
실제 계획을 보여주는 게 중요해요.
1. 학업과 음악 병행 계획
2. 하루 연습 시간과 루틴
3. 성적 관리 방법
서툴러도 괜찮습니다.
이렇게 구체적인 플랜을 준비하면
부모님도 조금 더 믿어주실 거예요.
3. 진심을 전달하기
마지막으로, 음악을 향한 진심을 전하세요.
이 말 한마디가 부모님의 마음을
움직이는 결정적인 순간이 될 수 있습니다.
4. 보컬 패밀리의 제안 그리고 개인적인 생각
사실 어떤 말을 할지는 중요한 게 아닙니다.
음악을 하고 싶은 진심이 중요합니다.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을 전하며
오늘 글을 마치겠습니다.
부모님이 아니더라도
여러분의 꿈을 부정 당하는 일은 앞으로 많습니다.
슬프고 힘들지만 그것보다
내 꿈이 그렇게 쉽게 말할 만큼 작고
가벼운 게 아니라는 것을
스스로 알아야 합니다.
음악을 반대하는 부모님, 100% 설득하는 방법 3가지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보컬패밀리 아카데미
경기 성남시 분당구 정자일로 198번길 15 제나프라자 301호 대표:
사업자번호 TEL 0507-1315-5142 E-mail
Copyright 2024 보컬패밀리 All rights reserved.
안녕하세요!
보컬패밀리 강사 이미르입니다.
오늘은 좋은 목소리에 필요한
요소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이런 고민이 있다면,
이번 글을 끝까지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정작 아나운서도 발음에 대해서는
얘기를 하지 않습니다.
발음이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죠.
발성이 더 중요한 요소입니다.
발성이 좋은 사람들은
발음이 정확한 것처럼 들리지만,
사실은 소리를 편하게 내기
때문에 전달력이 좋아지는 겁니다.
위처럼 고양이가 웅냐웅냐 하는데,
마치 한국말처럼 들리는 경우가 있죠.
아니죠.
한국어처럼 들리는 것이죠.
고양이의 소리는 날카롭고
찌르는 소리가 납니다.
명확하게 전달 되는 것이죠.
좋은 목소리는 발음이 아니라,
전달력 있는 소리입니다.
발음을 신경 쓰다 보면 입과 목
주변 근육에 힘이 들어가고,
말하는 속도가 느려집니다.
듣는 사람 입장에선 정확하게 들리지만,
말하는 사람은 오히려 불편해집니다.
긴장한 채로 말하면,
듣는 사람도 덩달아 긴장합니다.
그러니 자연스럽고 편하게 소리를 내야 합니다.
마인크래프트 게임에
주민이 흐음~ 하는 소리.
이 소리는 힘을 뺀 상태에서 나오는
자연스러운 소리입니다.
발음이 아니라 편안한 소리가
전달력의 핵심이라는 걸 보여주죠.
좋은 목소리를 원한다면,
발음보다 편한 소리가 먼저입니다.
좋은 목소리? "발음"이 문제가 아닙니다.
- 마침 -
"아.. 나는 왜 고음이 안되지...?"
"나는 고음만 되면 완벽한데.."
이런 고민을 하고 계시는 남성분들은
오늘 칼럼을 꼭 읽으시길 바랍니다.
최근 3개월 등록 현황 입니다.
10,000명이 넘는 수강생분들 중
남성 수강생분들의 고민은
고음에 대한 니즈였습니다.
안녕하세요.
보컬 패밀리 강사 이미르입니다.
오늘은 이 문제의 해결책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남성분들이 원하는 고음이죠.
10명 중 8명의 남자는
고음에서 힘을 강하게 주고 냅니다.
하지만,
오히려 반대죠.
멈, 꾹, 뻡, 누라는 발음으로
1.5 Tone Scale
1 Octave Repeat Scale
립트릴 or 텅트릴
을 하시면 됩니다.
네 맞습니다.
중요한 것은 힘이 세지 않아도
고음이 되는 것을 느껴야 합니다.
성대는 컨트롤할 수 없으니까요.
결론 : 붙이는 게 아니라 붙어지는 것이다.
⚠️ 주의할 점
모음이 정확해야 합니다.
압력 밥솥을 떠올리시면 됩니다.
안에 공기가 가득 차고
배출구가 좁으니
뿌~~하는 높은 소리가 납니다.
위 영상의 3분에서
잠가준다는 말이 중요합니다.
가슴에서 답답함이
느껴져야 합니다.
⚠️ 주의할 점
너무 강하게 붙이면
성대에 무리가 가니 난무는 안됩니다.
저희 아카데미 유튜브에도
올라와 있는 영상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엉 → 어를 해보시면
목구멍 쪽에서
막혔다가 뚫리는 느낌이 듭니다.
상압을 쓰시는 분은
대표적으로 김민석님이 계십니다.
많은 트레이너분들께서도
가성의 중요성을 많이 말씀하셨습니다.
저 가성의 정체는
요런 느낌의 가성인 것이죠.
고음에 필요한 가성은
위와 같이 선명한 가성입니다.
연습 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가성을 낸 후에
니, 네 같은 발음을
만들어주면 가성이 선명해집니다.
위에 상압과 같은 원리입니다.
저렇게 선명하게 내는 소리를
익숙하게 만드시고, 그다음에
천천히 노래에 적용하시면 됩니다.
제가 말씀드린 것들이
모든 사람에게 다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결막염 환자가
감기약 먹는다고 낫지 않듯이
필요한 게 사람마다 다릅니다.
보컬 패밀리는 레벨테스트 진행시
녹음을 진행하여 맞춤 선생님을
배정합니다.
마치 병원과 같은 것이죠.
고음 발성? "이거" 모르면 평생 못합니다.
- 마침 -
안녕하세요.
보컬패밀리 입시반 멘토 이미르 강사입니다.
오늘은 제2의 가수가 왜 성공하기
어려운지 실제 사례로 알아보겠습니다.
가수 주니엘님은 데뷔 초에
제2의 아이유로 마케팅을 했었던 분입니다.
2012년 6월 데뷔로 당시 관련 기사입니다.
마케팅은 성공적이었고,
illa illa (일라 일라)가 히트를 쳤습니다.
같은 앨범에 나쁜 사람이라는 곡도
많은 사랑을 받았죠.
보컬만 들어도 아이유와 유사하지만
조금 더 묵직하고, 슬픈 느낌의 보컬이죠.
사실 큰 문제는 없습니다.
노래도 히트를 쳤고, 음악 활동도 계속하니까요.
그런데 문제는
시간이 지났음에도 꼬리표처럼 따라다닙니다.
데뷔 초기에는 이런 마케팅이 도움이 되는 건 사실입니다.
하지만 결국 사람들은
원조를 찾게 되고,
장기적 관점으로는 좋지 않습니다.
"너 볼빨간사춘기랑 똑같다!"
"집 가면서 썸 탈꺼야 들어야지!"
과연 이런 유명 가수의 이름을
마케팅에 이용하는 것이 마냥 안 좋을까요?
비비는 밤양갱이라는 곡으로
인기를 얻어 어둠의 아이유라는
별명을 얻었습니다.
Hip Hop, R&B에서 강세를 보였고,
예능 프로나 연기 쪽에서도 강세를 보였습니다.
행보도 아이유와 비슷합니다.
위와 같이 예능과 연기 쪽에서
강세를 많이 보입니다.
하지만 캐릭터가 다르기 때문에
서로 다른 매력을 느낄 수 있는 것이죠.
아이유는 순수함, 귀여움이 컨셉이라면
비비는 섹시, 솔직함이 컨셉인 것이죠.
주니엘님은 틱톡에서 활동하고 계시지만
음악은 슬프거나, 밴드처럼 무거운 느낌의 곡들을
하셨다면 제2의 아이유라는 꼬리표는
더 이상 따라다니지 않았을 거라고
조심스럽게 예상해 봅니다.
아티스트가 오래 살아남기 위해서는
반전 매력이라고 생각합니다.
비비처럼 아이유와
비슷한 행보를 걷지만
컨셉이 다른 것처럼 말이죠.
결국 자신에게 어울리는 게
무엇인지를 공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2인자로 시작해 자신의 색깔을 보여줄지
자신의 색깔을 가지고 영역을 전개할 것인지
말이죠.
제2의 아이유? '실패'합니다.
- 마침 -
안녕하세요.
보컬 패밀리 입시반 멘토 이미르 강사입니다.
오늘은 음악에서 살아남는 방법입니다.
1. 음악은 1등이 살아남는다?
공부와 음악은 다릅니다.
사이트 먼저 확인 하겠습니다.
CWUR 한국 대학 랭킹
1위 서울대학교
30위 인제대학교
57위 한국외국어대학교
2023년도 취업률 보겠습니다.
대학의 순위가 낮을수록 취업률이 떨어집니다.
음악도 똑같을까요?
프로듀스 101 당시 종합 순위 20위였습니다.
지금은 (여자)아이들의 리더 겸 리드 래퍼죠.
아뇨 잘합니다.
물론 호불호가 갈리는 타입이긴 합니다.
특유의 비음으로 날카롭게 들려서 그렇죠.
보컬은 문제가 없습니다.
전소연은 (여자)아이들의 총괄 프로듀서입니다.
아뇨.
밴드 음악도 만들더니 차트를 점령해버립니다.
이대로 쭉 가면 엔터 대표도
가능하지 않을까 합니다.
아뇨. 원래 힙합 프로듀서입니다.
그런데 한서대 출신이네요.
한서대학교의 수시 경쟁률은 1.17 : 1입니다.
서울예대의 수시 경쟁률은 231:1이죠.
높은 경쟁률은 학교의 인기가 많다는 것입니다.
경쟁률이 순위라면 한서대는 그리 높지 않죠.
250은 인기가 없는 대학 출신이니까
음악으로는 살아남지 못할까요?
2023년 한국대중음악상에서 상을 6개 가져갑니다.
힙합을 하던 사람이 케이팝까지 점령합니다.
심지어 개인 앨범은 뽕짝이네요.
아이돌로 대중음악상을 타고
개인 앨범으로도 상을 쓸어버립니다.
2. 마지막으로 전할 이야기
음악이 순위, 학교가 중요한가요?
아뇨. 표현할 수 있는 재료가 많아야 합니다.
노래만 잘하면 살아남는다?
끝난지 오래입니다.
많은 것을 할 줄 알아야 하죠.
전소연처럼 랩도 하고,
춤도 추고, 가사도 쓰고,
작곡도 하고, 노래도 하는데
그 중에서도 작곡이 좀 더 특화 돼 있네?
250처럼 곡도 쓰고,
프로듀싱도 하고, 다양한 장르도 알면
곡을 쓸 때 장르만 결정해서 쓰면 되는 겁니다.
아무리 예뻐도 감흥은 줄어듭니다.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어야
오래 사랑을 받을 수 있죠.
음악도 꾸준히 공부하고,
내 것으로 만들고,
장르를 넘나들고,
타 아티스트와 협력해야 합니다.
현재 활동 중인 아티스트 중
성장하지 않는 아티스트는 없습니다.
전소연 인기 비결? '이것'입니다.
- 마침 -
이런 말을 들어보신 어머님이라면 잘 오셨습니다.
최근 3개월 상담 스케줄입니다.
특히 새 학기를 앞둔 1~2월에는
전체 상담 중 70%가
진로 고민으로 찾아오시는 부모님들이십니다.
오늘은 부모님들을 위한 칼럼을 준비했습니다.
1. 쉽지 않은 음악의 길
부모님의 마음, 잘 알고 있습니다.
1. 음악으로 과연 먹고살 수 있을까...
2. 연예인의 길이 얼마나 힘든데...
3. 우리 아이가 상처받진 않을까...
누구보다 자녀를 사랑하시기에
위 영상처럼 악플에
아이들이 상처받지는 않을까라고
누구보다 자녀의 미래를 걱정하시는 마음
너무나 잘 이해합니다.
2. 정말 그럴까?
정말 그럴까요?
한 가지 사례를 보여드리겠습니다.
슈퍼스타K 4의 계범주를 아시나요?
영상 하나 보고 가시죠.
본선까지 진출했으나
그 뒤로 소식은 많은 분들이 모릅니다.
지금은 어떻게 살고 계실까요?
음악을 포기하고 다른 일을 하실까요?
프리즘 필터(뮤직 퍼블리싱 회사) 대표 프로듀서
BUMZU
제10회 KOMCA 대중 작사·작곡 부문 대상
퍼블리셔: 작곡가들이 모인 회사
프로듀서: 음악 제작 전체를 총괄하는 디렉터
Q: 음악 하는 사람은 돈을 못 번다?
A: 아뇨. 열심히 하지 않는 사람이 돈을 못 법니다.
모든 직업이 그렇듯
열정과 노력에 따라 성공이 결정됩니다.
음악도 예외는 아닙니다.
단순히 노래를 잘하는 것은 기본입니다.
진정한 성공을 위해서는
다양한 무기가 필요합니다.
구체적인 성공 전략은 다른 칼럼에서
말씀드리겠습니다.
3. 마지막으로 전하고 싶은 이야기
음악이 힘든 길이라서가 아닙니다.
모든 길은 험난하고 어렵습니다.
중요한 건 우리 아이가 어떻게
전략적으로 영리하게 진로를 설계하는가입니다.
저희는 부모님들께서
생각하시는 그 마음보다
더욱 현실적이고 냉정한 마음으로 피드백합니다.
다만 정말 음악을 하고 싶다는
아이들에게는 현실적으로
가능한 교육방식을 제공합니다.
아래는 저희 보컬패밀리와 함께했던 연예인들입니다.
음악을 한다는 우리 아이, 어떻게 하죠?
- 마침 -
안녕하세요,
보컬 패밀리 입시반 멘토 겸 강사 이미르입니다.^^
혹시 이런 말을 들어본 적 있나요?
"넌 음악에 재능 없어"
"가수? 그런 거 아무나 하는 줄 알아?"
이런 부모님의 반대에는 이유가 있습니다.
오늘은 부모님을 이해하고,
현실적으로 설득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부모님 반대의 진짜 이유
1. 걱정이 만드는 반대
부모님의 차가운 말씀 뒤에는
사실 깊은 걱정이 있습니다.
📌
가수들은 무대에서 빛나기 위해
수많은 연습을 합니다.
하지만 위에서 봤듯이 현실은 차갑죠.
부모님은 여러분이 그 힘든 시간을
견뎌낼 수 있을지 걱정하십니다.
📌
수많은 연습생 중 데뷔하는 사람은
극소수입니다.
부모님은 여러분이 실패했을 때
어떤 길을 가야 할지 고민하시는 거죠.
📌
좋은 팬이 있는 만큼,
위처럼 비판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자녀가 이런 상처를 받을까 봐
걱정이 크실 수밖에 없습니다.
2. 오해가 만드는 반대
여러분의 꿈이 진짜라면,
이런 오해를 풀어드려야 합니다.
어떻게 설득하면 좋을까요?
1. 부모님 마음 먼저 이해하기
영상 하나 보고 가겠습니다.
9:18부터 보시면 될 거 같습니다.
우리를 키워주신 부모님도 사람이기 때문에
실수를 하실 수 있으십니다.
그러니 대화를 시작하기 전에,
부모님의 입장을 먼저 이해해 주세요.
이렇게 말하면 부모님도
나의 이야기를 들어주실 준비가 됩니다.
2. 구체적인 계획 보여드리기
단순히 “음악 할 거야!”라고 말하는 것보다
실제 계획을 보여주는 게 중요해요.
1. 학업과 음악 병행 계획
2. 하루 연습 시간과 루틴
3. 성적 관리 방법
서툴러도 괜찮습니다.
이렇게 구체적인 플랜을 준비하면
부모님도 조금 더 믿어주실 거예요.
3. 진심을 전달하기
마지막으로, 음악을 향한 진심을 전하세요.
이 말 한마디가 부모님의 마음을
움직이는 결정적인 순간이 될 수 있습니다.
4. 보컬 패밀리의 제안 그리고 개인적인 생각
사실 어떤 말을 할지는 중요한 게 아닙니다.
음악을 하고 싶은 진심이 중요합니다.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을 전하며
오늘 글을 마치겠습니다.
부모님이 아니더라도
여러분의 꿈을 부정 당하는 일은 앞으로 많습니다.
슬프고 힘들지만 그것보다
내 꿈이 그렇게 쉽게 말할 만큼 작고
가벼운 게 아니라는 것을
스스로 알아야 합니다.
음악을 반대하는 부모님, 100% 설득하는 방법 3가지
- 마침 -